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88

EXCEL 엑셀 조건에 맞는 행 값 전체 추출 하는 법 직장에서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다 보면 원하는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추출해야 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부서의 직원 목록이나 특정 기준에 부합하는 거래 내역을 한 번에 확인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엑셀에서 FILTER 함수를 사용하면 이런 작업도 손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FILTER 함수를 활용해서 조건에 맞는 행 값을 추출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 FILTER 함수 사용법FILTER 함수는 지정한 조건에 따라 배열의 하위 집합을 반환합니다. FILTER 함수 구문 =FILTER(array, include, [if_empty])array : 필터링할 배열 또는 범위include : 조건을 찾을 배열, 조건 범위[if_empty] : 조건에 맞는 값이 없을.. 2024. 8. 8.
엑셀 셀 넘어가는 글자 보이게 설정하는 법 엑셀에서 셀에 긴 텍스트를 입력하면 텍스트가 셀의 크기를 넘어가서 잘리거나 가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엑셀 작업 시 셀에 입력된 텍스트를 모두 보이게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엑셀 셀 넘어가는 글자 보이게 설정하는 법1. 자동 줄 바꿈 가장 단순한 방법으로 셀에서 입력된 글자를 줄 바꿈 하는 것입니다.자동 줄 바꿈을 써주면 글자가 다음 셀로 넘어가기 전에 줄 바꿈을 실행합니다. 단점으로는 행의 높이가 계속 커져서 보기 좋지 않다는 점이 있습니다. ▼ 홈 > 맞춤 > 자동 줄 바꿈2. 열 너비 맞춤 또 다른 방법으로 열 너비를 맞춰주는 것이 있습니다. 글자가 셀을 넘어가면 셀의 너비를 맞춰서 글자를 보이게 하는 방법입니다... 2024. 8. 1.
엑셀 한 셀에 여러 값 넣는 법 - 다른 셀 내용 가져오기 엑셀을 활용하다 보면 특정 셀 값을 가져오는 일과 여러 값을 한 셀에 입력되게 하는 일을 자주 접합니다.TEXTJOIN 함수와 & 연산자를 활용하면 이러한 작업을 도와주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TEXTJOIN 함수와 & 연산자를 사용해서 엑셀에서 여러 셀에 있는 값 하나의 셀에 넣는 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엑셀 한 셀에 여러 값 넣는 법 TEXTJOIN 함수를 이용하는 경우 TEXTJOIN 함수는 2개 이상의 텍스트 문자열을 하나의 문자열로 연결해 주는 텍스트 함수입니다. 이 함수를 이용해서 각각 따로 떨어져 있는 셀을 참조하여 한 셀로 가져오는 것이 가능합니다. 수식 = TEXTJOIN( 구분 방법, 빈 셀 여부, A1, A2, A3, ...) 구분 방법 : 구분을 해주는 기호나 기준을 만들어줍니다.예.. 2024. 7. 25.
엑셀 여러 셀 텍스트 합치기, CONCATENATE 함수 엑셀에서 여러 셀의 내용을 합치는 일을 할 때 정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함수가 있습니다.바로 CONCATENATE 함수인데요. CONCATENATE함수는 여러 텍스트나 셀을 하나의 셀에 다시 작성해 주는 함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엑셀 CONCATENATE 함수를 사용법과 예시를 들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CONCATENATE 함수 사용법 CONCATENATE 함수는 여러 셀이나 텍스트 값을 한 셀에 다시 작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CONCATENATE 함수를 사용하는 기본 수식은 아래처럼 한 셀에 작성해 주면 됩니다. =CONCATENATE( text1, text2, text3, text4, ...) text1, text2, text3, ... : 텍스트 또는 셀 참조를 넣어주면 됩니.. 2024. 7. 18.
엑셀 수식 값으로 변환 하는 단축키 사용법 엑셀 작업하다 보면, 함수를 사용한 셀에 입력된 수식을 값만 남도록 변환해야 할 때가 있죠?이런 경우, 값만 복사하고 붙여 넣는 방법도 있지만, 더 간단한 방법도 있습니다. 바로 F9 단축키를 이용하는 방법인데요. 오늘은 이 방법을 통해서 수식을 값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셀 수식 값 변환 단축키엑셀에 함수를 입력해서 값을 나타내면 값은 숫자나 텍스트로 표시되지만 셀을 클릭해서 셀 내부를 보면 수식이 작성되어 있습니다. 수식이 작성된 셀을 선택 후 단축키 F9를 누르면 수식이 삭제되고 값만 남습니다.이때 수식이 작성된 셀을 선택할 때는 "더블 클릭" 또는 "F2"를 눌러 수식이 보이게 편집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줘야 합니다. 수식 셀 선택 ("더블 클릭" 또는 "셀 선택 후 F2").. 2024. 7. 11.
Excel 엑셀 함수 결과값 텍스트 서식 변경 하는 방법 엑셀을 이용해 보면 가끔 셀에 작성된 수식들이 꼬일 때가 있습니다. 여러 작업이 오가면서 셀에 있는 내용을 이리저리 옮기다 보면 연결된 함수들이 모두 끊어져 에러(Error)가 발생하는데요. 이런 상태라면 함수를 사용해서 값을 구한 셀 중에 수식이 적용이 필요 없는 셀들을 모두 "값"만 입력된 상태로 변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엑셀에서 수식을 작성한 셀을 값만 남기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보겠습니다.엑셀 함수 결과값 텍스트 변환엑셀에서 셀의 수식을 값으로 변환하는 방법은 셀을 선택한 후 복사하여 "값" 서식으로 붙여 넣기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적용 방법 1. 수식 셀 범위 선택변환할 수식이 적힌 셀 범위를 모두 선택해 주세요. 셀 칸이 떨어질 경우에는 Ctrl 키를 누른 채로 마우스로 .. 2024. 7. 4.
반응형